
2025 롤 프로게이머 연봉·이적시장
스토브리그 · LCK·LPL 연봉 체계 · 계약금 · 이적 동향
▸ 샐러리 캡 제도 · 주요 선수 계약금 · 해외 진출 트렌드 · 2026 시즌 전망
💰 2025 롤 프로게이머 연봉·이적 시장 현황
LCK 샐러리 캡 상위 5명 40억 원 상한제 · LPL 투자 감소로 연봉 경쟁 완화 · 월즈 우승팀 전원 재계약 · 룰러 복귀 등 빅딜
📋 목차
💎 LCK 연봉 구조 · 샐러리 캡 제도 · 상위 5명 40억 원
LCK는 2023년부터 균형 지출 제도(SFR, Sporting Financial Regulation)를 도입했습니다. 팀 내 연봉 상위 5명 합산 40억 원 이상 지출을 하면 사치세가 부과되는 구조로, 각 팀의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항목 | 세부 내용 |
|---|---|
| 샐러리 캡 | 상위 5명 연봉 합산 40억 원 - 초과 시 사치세 부과 |
| 평균 연봉 | LCK 평균 약 7억 원 - 포지션·경력에 따라 변동 |
| 장기 근속 혜택 | 같은 팀 3년 이상 근속 시 샐러리 캡 계산에서 일부 감면 |
| 도입 시기 | 2023년부터 도입 · 2024년부터 완전 적용 · 2025년 계속 유지 |
| 국제전 성과 | 월즈 우승팀은 재계약 유리 · T1 전원 재계약 추진 |
📌 LCK 연봉의 특징: 샐러리 캡 도입으로 연봉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었습니다. 다만 국제전 우승 경험이 있는 선수는 높은 연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역 프로게이머 평균 수명이 5~7년인 점을 감안하면, 전성기 선수들의 연봉이 집중되는 구조를 보입니다.
🌏 LPL 연봉 체계 · 중국 당국 규제 · 투자 감소 추세
LPL은 2024년부터 중국 당국의 게임 규제 강화로 인해 샐러리 캡 도입 및 연봉 기준 하향 조정을 단행했습니다. 2023년 월즈 우승 실패가 이어지면서 리그 전체의 투자 규모가 축소되고 있습니다.
| 항목 | LPL | LCK |
|---|---|---|
| 평균 연봉 | 약 20~30억 원 | 약 7억 원 |
| 샐러리 캡 | 2025부터 도입 (기준 하향) | 상위 5명 40억 |
| 투자 기조 | 감소 중 (규제·경기침체) | 안정화 (캡 제도) |
| 한국 선수 진출 | 급감 중 - 룰러 복귀 | 국내 시장 중심 |
📌 LPL 연봉 시장의 변화: 과거 LPL은 LCK보다 5배 이상 높은 연봉을 제시하며 한국 선수들을 영입했습니다. 하지만 2025 시즌부터 샐러리 캡 도입과 투자 감소로 이적 매력도가 크게 떨어졌습니다. 오히려 LCK로의 복귀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주요 선수 계약금 · 톱 티어 연봉 분석
2025 시즌 톱 티어 프로게이머의 연봉은 국제전 성과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월즈 우승팀 선수들의 재계약이 우선순위이며, 국제전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의 연봉이 높은 편입니다.
🏅 2025 톱 티어 프로게이머 추정 연봉
1위. 페이커 (T1 미드)
추정 연봉: 70억 원 (광고 포함시 100억 원 이상) · 스폰서십·광고료 별도 · 3년 재계약
2위. 구마유시 (T1 원딜)
추정 연봉: 30~40억 원 · 월즈 파이널 MVP · 2025 시즌 1년 재계약
3위. 케리아 (T1 서포터)
추정 연봉: 20~30억 원 · 3년 월즈 결승 경험 · 2년 재계약
4위. 쵸비 (Gen.G 미드)
추정 연봉: 20~25억 원 · MSI 파이널 MVP · 장기 근속 센터
5위. 오너 (T1 정글)
추정 연봉: 15~25억 원 · 3년 월즈 경험 · 2년 재계약
연봉 결정 요소: 국제전 우승 경험 · 최근 시즌 성적 · 팀의 재무 능력 · 선수의 팬 인기도 · 광고 가치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됩니다.
🔥 2025 스토브리그 · 주요 이적 · KT·젠지의 변신
2025 LCK 스토브리그는 월즈 성적에 따른 대규모 로스터 개편으로 특징지어집니다. T1의 전원 재계약, KT의 기적적 우승 도전, 젠지의 룰러 복귀 등이 주목됩니다.
| 팀 | 주요 변화 |
|---|---|
| T1 | 전원 재계약 - 제우스 떠나고 도란 영입 · 롤드컵 3연패 우승 |
| 젠지 | 룰러 복귀 - LPL 2년 후 복귀 · MSI 우승진 재구성 |
| KT | 비디디 재계약 - 예산 확보 · 젠지 완파 후 신뢰 회복 |
| 한화생명 | 로스터 개편 · 새로운 감독·선수 영입 추진 |
| 기타 | 해외파 선수 복귀 (스카웃·카나비 등) · 신인 영입 확대 |
📌 2025 스토브리그의 특징: 월즈 준우승팀 KT가 예상외로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스토브리그의 변수가 되었습니다. LPL 투자 감소로 한국 선수들의 국내 복귀가 증가하고 있으며, T1의 안정적인 전원 재계약이 시장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 한국 선수의 LPL 진출 추세
✓ 과거 트렌드 (2021~2023)
LPL의 높은 연봉(LCK의 5배 이상)으로 한국 선수의 중국 진출 물결 · 데프트, 럼블, 카나비 등 대어급 선수 진출
✓ 현재 트렌드 (2024~2025)
LPL 샐러리 캡 도입 · 규제 강화 · 투자 감소로 한국 선수 진출 급감 · 오히려 LCK 복귀 선수 증가 (룰러 복귀 등)
✓ 예상 전망 (2026)
LPL의 장기적 투자 축소 예상 · 한국 선수들의 국내 시장 정착 가능성 증대 · 국제전 경험 있는 선수 중심의 LCK 영입 경쟁 심화
📚 관련 프로게이머·국제대회 글 읽어보기
롤 프로게이머들의 프로필, 국제전 성적, 팀별 분석을 함께 확인하세요.
🔗 T1·KT 핵심 선수 프로필 · 페이커·구마유시·비디디 · 커리어 분석
국제전 기록·우승 경험·2025 시즌 평가
🔗 2025 MSI 완벽 정리 · Gen.G 우승·T1 준우승 · 결승 분석
파이널 MVP·국제전 기록·동시시청 344만명
🔗 2025 롤드컵 결승 · T1 3연패 우승 · KT 창단 첫 결승
쓰리핏 기록·통신사 더비·구마유시 파이널 MVP
🔗 2025 LCK 시즌 · 젠지·T1·한화생명 · 플레이오프·결과
정규시즌 분석·팀별 성적·월즈 진출
📊 2025 롤 프로게이머 연봉시장 종합 평가
LCK의 샐러리 캡 제도와 LPL의 투자 축소로 전체 프로게이머 연봉 시장이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과거 LPL의 과도한 연봉 제시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면서 장기적인 시장 건전성이 회복되는 추세입니다.
페이커 같은 극소수의 톱 티어 선수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프로게이머는 20억 원대의 안정적 연봉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국제전 경험 여부가 연봉 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한국 선수들의 LPL 진출이 대폭 감소하면서 LCK 내 경쟁 심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2026 시즌에는 LCK의 샐러리 캡 제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팀의 재정 건전성과 선수 경기력의 균형이 e스포츠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 추천 검색 키워드
롤 프로게이머 연봉 | LCK 연봉 | LPL 연봉 | 페이커 연봉 | 샐러리 캡 | 스토브리그 | 2025 롤드컵 | T1 우승 | KT 준우승 | 젠지 | 구마유시 | 케리아 | 롤 이적시장 | 프로게이머 계약금 | 월즈 우승 | LCK 스토브리그 | 한국 선수 해외진출 | LPL 중국 규제 | 프로게이머 평균 연봉 | 2026 LCK 전망
이 글은 2025년 LCK·LPL 스토브리그 결과와 공식 연봉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년 11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