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2025 APEC 경주 21개 참가국 완벽 정리 (2025)

by 머니phd 2025. 10. 16.
반응형

2025 APEC 경주 21개 참가국 완벽 정리 (2025)

 

 

2025년 10월 최신 | 지역별·가입연도·주요 수출품까지

💬 3줄 요약

  • APEC 경주 참가국은 정확히는 21개 '경제체(Economies)'로 구성 (홍콩·대만 포함)
  • 지역별로 동아시아 5개, 동남아 7개, 오세아니아 3개, 북미 3개, 남미 2개, 러시아 1개
  • 회원국 GDP 합계는 세계의 약 60%, 무역량은 약 50% 차지

APEC 경주는 21개 경제체(Economies)로 구성됩니다. '국가'가 아닌 '경제체'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홍콩과 대만처럼 주권국가가 아닌 지역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역별로 나누어 각 경제체의 특징을 정리했습니다.


📊 APEC 경주 참가국 개요

🌐 APEC의 규모

  • 회원 수: 21개 경제체
  • 인구: 약 29억 명 (세계 인구의 약 38%)
  • GDP: 약 60조 달러 (세계 GDP의 약 60%)
  • 무역량: 세계 무역의 약 48%
  • 창설: 1989년 (36년 역사)

🗺️ 지역별 분포

지역 경제체 수 주요 국가
동아시아 5개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동남아시아 7개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오세아니아 3개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북아메리카 3개 미국, 캐나다, 멕시코
남아메리카 2개 칠레, 페루
유라시아 1개 러시아
합계 21개 -

🔵 동아시아 5개 경제체

🌏 East Asia (5개)

세계 제조업과 수출의 중심.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의 글로벌 공급망 핵심 지역.

🇰🇷대한민국 (South Korea)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서울
  • 인구: 약 5,200만 명
  • 주요 수출: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배터리, 화학
  • 특징: 2005년 부산 APEC 개최, 혁신 기술 강국

🇨🇳중국 (China)

  • 가입: 1991년
  • 수도: 베이징
  • 인구: 약 14억 명 (세계 2위)
  • 주요 수출: 전자제품, 기계, 섬유, 가전
  • 특징: APEC 최대 경제체, 2001년 상하이·2014년 베이징 개최

🇯🇵일본 (Japan)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도쿄
  • 인구: 약 1억 2,500만 명
  • 주요 수출: 자동차, 반도체 소재, 정밀기계
  • 특징: 선진 기술국, 1995년 오사카·2010년 요코하마 개최

🇭🇰홍콩 (Hong Kong, China)

  • 가입: 1991년
  • 지위: 중국 특별행정구
  • 인구: 약 750만 명
  • 주요 산업: 금융, 무역 중계, 물류
  • 특징: 아시아 금융 허브, 자유무역항

🇹🇼대만 (Chinese Taipei)

  • 가입: 1991년
  • 공식 명칭: Chinese Taipei (차이니즈 타이베이)
  • 인구: 약 2,400만 명
  • 주요 수출: 반도체 (세계 1위), 전자부품, PC
  • 특징: TSMC 등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보유

🟢 동남아시아 7개 경제체

🌴 Southeast Asia (7개)

ASEAN 회원국 중심. 빠르게 성장하는 신흥시장, 공급망 다변화의 핵심 지역.

🇸🇬싱가포르 (Singapore)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지위: 도시국가
  • 인구: 약 570만 명
  • 주요 산업: 금융, IT, 바이오, 물류
  • 특징: 동남아 금융 허브, 2009년 개최

🇹🇭태국 (Thailand)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방콕
  • 인구: 약 7,000만 명
  • 주요 수출: 자동차, 전자제품, 농산물
  • 특징: 동남아 제조 허브, 2003년·2022년 방콕 개최

🇻🇳베트남 (Viet Nam)

  • 가입: 1998년
  • 수도: 하노이
  • 인구: 약 1억 명
  • 주요 수출: 전자제품, 섬유, 신발, 농수산물
  • 특징: 제조업 급성장, 2006년 하노이·2017년 다낭 개최

🇮🇩인도네시아 (Indonesia)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자카르타
  • 인구: 약 2억 7,500만 명 (세계 4위)
  • 주요 수출: 팜유, 석탄, 천연가스, 섬유
  • 특징: 동남아 최대 경제체, 1994년 보고르·2013년 발리 개최

🇲🇾말레이시아 (Malaysia)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쿠알라룸푸르
  • 인구: 약 3,300만 명
  • 주요 수출: 전자제품, 팜유, 석유, 천연가스
  • 특징: 1998년·2020년(온라인) 개최

🇵🇭필리핀 (The Philippines)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마닐라
  • 인구: 약 1억 1,500만 명
  • 주요 산업: BPO(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전자제품
  • 특징: 1996년·2015년 마닐라 개최

🇧🇳브루나이 (Brunei Darussalam)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
  • 인구: 약 45만 명
  • 주요 수출: 석유, 천연가스
  • 특징: 소국이지만 1인당 GDP 높음, 2000년 개최

🟡 오세아니아 3개 경제체

🏝️ Oceania (3개)

자원 부국과 농업 강국. 광물, 에너지, 농축산물의 주요 수출 지역.

🇦🇺호주 (Australia)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APEC 제안국)
  • 수도: 캔버라
  • 인구: 약 2,600만 명
  • 주요 수출: 철광석, 석탄, 천연가스, 농산물
  • 특징: APEC 창설 주도, 2007년 시드니 개최

🇳🇿뉴질랜드 (New Zealand)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웰링턴
  • 인구: 약 510만 명
  • 주요 수출: 유제품, 육류, 와인, 목재
  • 특징: 농업 선진국, 1999년·2021년(온라인) 개최

🇵🇬파푸아뉴기니 (Papua New Guinea)

  • 가입: 1993년
  • 수도: 포트모르즈비
  • 인구: 약 920만 명
  • 주요 수출: 금, 구리, 천연가스, 팜유
  • 특징: 최빈국이지만 2018년 첫 개최 성공

🔴 아메리카 5개 경제체

🌎 Americas (5개)

북미 3개국(USMCA)과 남미 2개국. 기술, 자원, 농업의 다양한 경제 구조.

📍 북아메리카

🇺🇸미국 (United States)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워싱턴 D.C.
  • 인구: 약 3억 3,500만 명
  • 주요 산업: IT, 금융, 항공우주, 제약, 에너지
  • 특징: 세계 최대 경제체, 1993년 시애틀·2011년 호놀룰루·2023년 샌프란시스코 개최

🇨🇦캐나다 (Canada)

  • 가입: 1989년 (창설 멤버)
  • 수도: 오타와
  • 인구: 약 3,900만 명
  • 주요 수출: 원유, 천연가스, 광물, 목재, 농산물
  • 특징: 자원 부국, 1997년 밴쿠버 개최

🇲🇽멕시코 (Mexico)

  • 가입: 1993년
  • 수도: 멕시코시티
  • 인구: 약 1억 3,000만 명
  • 주요 수출: 자동차, 전자제품, 석유
  • 특징: 제조업 허브, 2002년 로스카보스 개최

📍 남아메리카

🇨🇱칠레 (Chile)

  • 가입: 1994년
  • 수도: 산티아고
  • 인구: 약 1,950만 명
  • 주요 수출: 구리, 리튬, 과일, 와인
  • 특징: 구리 세계 1위, 2004년·2019년(취소) 산티아고 개최

🇵🇪페루 (Peru)

  • 가입: 1998년
  • 수도: 리마
  • 인구: 약 3,400만 명
  • 주요 수출: 광물(금, 구리), 어분, 과일
  • 특징: 광물 자원 풍부, 2008년·2016년·2024년 리마 개최

⚪ 러시아

🇷🇺러시아 (Russia)

  • 가입: 1998년
  • 수도: 모스크바
  • 인구: 약 1억 4,600만 명
  • 주요 수출: 원유, 천연가스, 무기, 곡물
  • 특징: 에너지 대국, 유라시아 연결, 2012년 블라디보스토크 개최
⚠️ 참고: 러시아는 유럽에 속하지만, 블라디보스토크 등 극동 지역이 아시아·태평양과 연결되어 APEC 회원입니다. 지정학적 상황에 따라 참여 수준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왜 '국가'가 아니라 '경제체'인가?

🔑 핵심 이유

APEC은 정치적 논쟁을 피하고 경제 협력에만 집중하기 위해 '경제체(Economies)'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경제체 주권국가 여부 설명
홍콩 중국 특별행정구이지만 독립적 경제체로 참여
대만 논쟁 'Chinese Taipei'로 명명, 정치 문제 회피
나머지 19개 주권국가

💡 실용적 접근: APEC은 WTO와 달리 구속력 있는 조약을 맺지 않고, 자발적 협력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정치적 지위보다 경제 협력 의지가 더 중요합니다.


📅 2025 APEC 경주 정상회의 일정 보기

21개 참가국 정상이 모이는
2025년 APEC 정상회의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세요!

2025 APEC 정상회의 일정 완벽 가이드 →

🎬 마치며

2025 APEC 경주 21개 참가국은 세계 인구의 38%, GDP의 60%, 무역의 48%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입니다. 이들의 협력은 우리 경제와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각국의 강점과 특징을 이해하면 비즈니스 기회도 보입니다! 🌏

최종 업데이트: 2025년 10월

반응형